전체 글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kafka-springboot 연동 결과 build.gradle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0.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0'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7'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 스프링 프레임워크 등장 EJB 지옥 EJB에서 주는 인터페이스를 다 받아서 서비스 repo 등을 개발했어야 했다 -> 즉, ejb의 의존도가 굉장히 높아짐 근데 이 EJB가 굉장히 어려움. 그러다 보니, 그냥 순수한 JAVA를 쓰자는 말들이 나옴. 그러다 로드 존슨이란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이 EJB 없이도 충분히 고품질의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 있음을 보여줌. 여기에 지금의 스프링 핵심 개념과 기반 코드가 들감 이걸 기반으로 오픈소스인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만들어졌다. 그러다 2003~ 2013 까지 쭉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쭊쭊 발전하기 시작함. 핵심 기술: AOP, DI, MVC, WebFlux, 트랜잭션, JDBC, ORM, 캐시, 등등 스프링이 잘되면서 스프링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시큐리티, 배치 등.. kafka producer 시작 전에 리눅스 서버에서 server.propertise의 advertised.listener 가 뭔지 확인하고, localhost:9092에서 통신할 ip로 변경해주기 이렇게 되어있어야 한다. 안그러면 밑에서 실행할 java 프로그램 (producer에서 오류난다.) 바꾼 후엔, 재부팅 HOST 셋팅 1. vs code 다운로드 2.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지정 --> 확인 cmd 열어서 java 및 javac 3. 깃헙에서 소스코드 zip 으로 다운로드 받고, 폴더 오픈 4. 원하는 코드 찾아서 ctrl+shift+d --> vs code 내에서 gradle, java 디버거 등등 없으면 다운로드 (vscode 화면에서 바로 가능) 5. 코드에서 BOOTSTRAP_SERVERS를 내꺼로 바꿔주기..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