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계층- 개요 네트워크 계층은 OSI 7 Layer에서 세 번째에 위치한 계층으로 단위는 Datagram이다. 과거 네트워크 수업을 들었을 때 네트워크 계층에서만 거의 3주를 할애할 정도로 공부할 내용이 많은 계층이다. 네트워크 계층은 송신자[Sender]가 전송한 메시지가 수신자[Receiver]가 위치한 곳까지 찾아가야하는 데 사용되는 경로를 책임진다. 즉, 길찾기를 담당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어 영역[Control Plane]과 데이터 영역[Data Plane]이다. 각 영역은 다른 역할을 담당한다. 먼저 제어 영역의 경우 라우팅[Routing]을 담당한다. 라우팅이란 Sender에서 Receiever까지 가는 경로를 찾는 것이다. 데이터 영역에서는 포워딩[Forwarding.. 필리핀에서의 어학연수, 후기 나는 내 나이 21살, 2015년도에 9월~12월 중반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거주했다. 필리핀 어학연수는, 나에게, 타임머신이 있다면 돌아가고 싶은 기억 3위 안에 있으며 내 인생에서 너무 즐겁고 행복했던 날 3위 안에 꼽는다. 많은 사람들이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어학연수를 꿈꿀 것 같다. 20대 초반에 대학교에서 어학연수,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서 이기도 하지만, 나중에 나이먹고 영어의 중요성을 깨닫고 어학연수를 찾는 사람도 꽤 될 것 같다. 어학연수를 고려할 때 사람들이 가장 고민하는 부분은 3가지 정도일 것 같다. '생활 환경', '가격', '영어 실력 향상도'. 사람마다 '생활 환경'에 대한 생각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은 논외로 하고, '가격'과 '영어 실력 향상도'에 있어서 필리.. 데이터 링크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 1. 브릿지[Bridge] 2. 이더넷 스위치 스위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도 동작하지만 전송 계층에도 존재하다. (하는 역할은 조금 다름) 링크 계층의 스위치는 단순하게 데이터 주소를 보고 맞는 아웃풋 포트로 내보내는 기능과 충돌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와 같은 스위치에서 A->A' 전송이 있고 B->B'로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Cf. 허브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다. 헷갈리지 말자 데이터 링크 - ARP 동작 과정 ARP를 들어가기 전에 하나의 메시지를 송신자[Sender]가 수신자[Receiever]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먼저 생각해보자. Sender의 Application 계층에서 생성된 해당 메시지는 Presentation, Session, Transport 계층을 거치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압축하는 과정과 소켓과 포트번호를 부착하는 과정 거친다. 그리고 Network 계층의 라우팅을 통해 정한 경로를 따라서 Receiever가 있는 네트워크 영역까지 도착한다. (지금은 뭔소린지 이해가 안돼도 그렇구나하고 넘겨도 된다.) IP 주소를 보고 겨우겨우 Receiever가 있는 네트워크까지 도착했는데 알고보니 해당 네트워크(예를 들어 공유기)에는 연결된 기기 수가 많아서 IP로만 찾아갈 수 없게되었다. 이때, 메시.. 데이터 링크- 대표 프로토콜(HDLC, 이더넷, X.25) 1.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해당 프로토콜은 IBM이 개발한 데이터링크 계층의 제어절차라 할 수 있다. 해당 프로토콜은 두 가지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1. 흐름제어[Flow control]과 2. 에러제어[Err Control]이 존재한다. 흐름 제어는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ever]가 통신할 때 메시지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에러제어는 말 그대로 전송된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HDLC에서 흐름제어는 윈도우 슬라이딩을 활용한다. 에러제어를 위해서는 CRC 방식을 채택하며 메시지가 유실되었을 시 ARQ를 통해 재전송을 함으로써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송되었음을 보장한다. 또한 비트 스터핑이 사용된.. 데이터 링크- Multiple Access Protocols(MAC) #3. Taking Turns 앞서 포스팅에서 채널 분할[Channel Partitioning] 방식과 Random Access 방식의 MAC 프로토콜을 살펴보았다. 채널 분할 방식은 보낼 프레임이 많을 때는 효율적이지만 IDLE한 환경에선 채널의 낭비가 발생했으며 이와 반대로 Random Access에선 채널이 IDLE 할 때는 효율적이지만 그렇지 않을 땐 충돌로 인해 채널의 낭비가 발생했다. 1. as-backup.tistory.com/5?category=1156499 데이터 링크- Multiple Access Protocols(MAC) #1. Channel Partition Multiple Access란 무엇일까?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채널 링크에는 여러 개의 노드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링크 채널에는.. 데이터 링크- Multiple Access Protocols(MAC) #2. Random Access 앞서 MAC 프로토콜에 대한 정의와 함께 채널을 분할[Channel Partitioning]해서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언급했었다.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환경이 IDLE 할 때는 성능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에 배울 Random Access는 이와 반대로 IDLE한 환경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1. as-backup.tistory.com/5?category=1156499 데이터 링크- Multiple Access Protocols(MAC) #1. Channel Partition Multiple Access란 무엇일까?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채널 링크에는 여러 개의 노드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링크 채널에는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송신할 수 있다. 만약 �� .. 데이터 링크- Multiple Access Protocols(MAC) #1. Channel Partition Multiple Access란 무엇일까?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채널 링크에는 여러 개의 노드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링크 채널에는 한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여러 노드가 동시에 같은 링크 채널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때 발생하는 것이 '충돌'이다. 충돌이 일어나면 제대로 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노드가 한번에 하나의 링크에 데이터를 보내지 않도록 제어해줘야 한다. 즉, Multiple Access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Multiple Access Control]해줘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규약을 Multiple Access Control Protocols(줄여서 MAC 프로토콜)라 칭한다. 해당 프로토콜엔 여러 방식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 .. 데이터 링크 계층 개요 데이터링크 계층(링크 계층)은 OSI7 계층 하단에서 2번째에 위치하며 데이터의 단위는 FRAME이다. 1계층인 물리 계층의 역할은 Node to Node 즉 바로 옆에 있는 Node 끼리 간의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면, 링크계층에선 Node to Node인건 동일하지만 물리 계층에서 하지 않았던 오류 검출과 신뢰성을 더하는 역할을 맡는다. 물리 계층은 단순 전기신호이기에 오류가 잦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야기 해볼 내용은 링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Multiple Access 프로토콜 그리고 링크 계층을 대표하는 프로토콜인 이더넷과 ARP, 링크 계층 장비 스위치에 대해 이해해보도록 하자. 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네 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1. .. 이전 1 2 3 4 5 다음